<영양>고기 즐기는 미테리언(meatarian)이 장수한다

|
여름 더위의 피크, 삼복이 돌아왔습니다. 12일부터 시작된 초복으로 보양식을 찾는 분들이 많을 텐데요. 최근에는 ‘보양식’의 범위가 넓어서 육류 외에도 다양한 음식 체력을 보충하고 삼복을 넘기곤 합니다. 그런데 최근 한 연구에 따르면, 고기와 유제품 섭취가 많을 수록 비례해서 사망률이 낮아진다고 합니다. 고기를 많이 먹을수록 장수할 확률도 올라가는 셈입니다. |

|
일본 국립국제의료연구센터와 국립암염구센터가 1990년대부터 약 15년 동안 40~69세 남녀 8만명을 대상으로 추적 조사한 결과, 축산물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은 가장 낮은 그룹에 비해 사망률이 10%이상 낮았습니다. 건강한 식단하면 떠오르는 것은 채식인데, 어떻게 이런 결과가 나오는 것일까요?
◇ 핵심은 아미노산 육류에 들어있는 핵심 영양소 중에는 ‘아미노산’이 있습니다. 성장기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신체발달에 필요하고, 면역체계를 튼튼하게 해줍니다. 이중 몇몇 아미노산은 몸 속에서 만들 수 없어 반드시 먹어서 섭취해야 하고, 육류에만 함유된 아미노산 종류도 적지 않습니다. 따라서 육류나 계란 등의 섭취량이 적거나 없다면 해당 영양소들은 필연적으로 결핍될 수 밖에 없다고 하는데요. 따라서 채식 위주의 식습관을 가지고 있더라도 적정량의 육류나 아미노산을 함께 섭취해 주는 것이 건강에 훨씬 좋다고 합니다. <아미노산 10종 가득! 프리미엄 아미노산 옥타미녹스(Octaminox)> ◇ 비타민 D의 연료, 콜레스테롤 실내 생활이 길어지면서 현대인들에게 비타민D는 항상 부족한 성분이 되었습니다. 육류의 콜레스테롤은 뼈를 튼튼하게 하는 비타민D 생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는데요. 따라서 육류 섭취량이 부족할 경우 골다공증 등에 걸릴 확률이 올라간다고 합니다. 노년기 뼈의 상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생각하면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이야기네요. |

|
◇ 성인 체중 1kg당 1g의 ‘아미노산’ 섭취
70kg의 성인을 기준으로 적정한 양의 ‘아미노산’을 섭취하려면 하루 350g의 고기 섭취가 권장됩니다. 복날 보양식의 대명사 삼계탕에 사용되는 닭의 무게가 551~565g(6호)이고 뼈나 부산물의 무게를 감안하면 하루 섭취량으로 아주 적절할 것 같습니다. ◇ 채식과 육식의 조화 전문가들은 그렇다고 ‘고기만’ 먹는 ‘편식’ 또한 피해야 한다고 말합니다. 고기에만 존재하는 영양소가 있듯 채소에만 있는 영양소도 있기 때문. 특히나 섬유질이나 항산화물질 등을 들 수 있는데요. 가장 좋은 식사습관은 ‘고기 먹는 채식’ 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. [ 2017-07-12 14:56 help@octaminox.com ] 저작권자 © 옥타미녹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. |

